목공기초

목공기초 _톱의 종류 및 톱질방법

어스테로이드 2022. 9. 30. 16:58

목공기초수업 첫번째 톱질하기

 

기본적인 톱의 종류 및 용도

 

1. 자르는 톱

 

목재를 나뭇결에 직각으로 자를 때 사용하며, 톱의 크기는 24.24~ 33.33㎝까지 있고, 이외 크기는 뿌리 부분이나 머리 부분이 거의 같으며 이의 수가 많다.

 

2. 켜는 톱

 

목재를 나뭇결 방향으로 켤 때 사용하며, 톱의 크기는 자르는 톱과 같고 톱니의 밑날과 윗날은 삼각형 모양으로 되어 있다. 톱니는 머리부분으로 갈수록 점점 커져 뿌리 부분의 톱니보다 머리 부분의 톱니가 약 2배 정도 크다.

 

3. 양날톱

 

톱몸의 양쪽에 자르는 톱니와 켜는 톱니로 만든 것으로 톱몸의 나비가 넓다.

자르는 이와 켜는 이의 날어김이 같지 않으면 톱질을 할 때 이가 상하기 쉽다.

자르기와 켜기에따른 날의 각도

 

 

4. 등대기톱

 

자르는 톱의 일종으로 정밀한 세공 작업에 사용하며, 날어김이 작아 톱질면은 깨끗하나, 톱몸이 휘기 쉽고, 등대기를 붙였기 때문에 깊이 자를 수 없다.

 

5. 장부켜기 톱

 

정밀한 세공 및 장부를 켤 때 사용하며, 톱니는 막니이다.

 

6. 붕어톱

 

주로 홈을 팔 때 사용하며, 톱몸 양쪽에 자르는 톱니와 켜는 톱니로 되어 있으나, 톱몸은 짧고 목이 길다.

 

7. 쥐꼬리톱

 

원 또는 곡선을 자를 때 사용하며, 톱몸은 나비가 좁고 비교적 두꺼우며, 머리로 갈수록 가늘고 톱니는 막니이다.

 

8. 활톱

 

철제의 활틀에 좁은 톱날을 끼워 대나무나 굳은 나무를 자를 때 사용하며, 톱니는 자르는이 또는 가는 막니로 되어 있다.

 

9. 실톱

 

실톱대에 막니의 실톱날을 끼운 것으로 정밀한 곡선이나 직선을 오리는데 사용한다.

 

 

 

이처럼 다양 한 톱들이 있으며 톱날의 형태에 따른 자르는 톱니와 켜는 톱니가 결정되어집니다.

 

톱질의 자르기와 켜니

 

 

자르기: 목재의 결방 향에 수직으로 절단하는 것

 

켜기: 목재의 결방 향에 평행으로 절단하는 것

 

 

나무가 성장함에 따라 목재 섬유질(수관)에 따라 목재 의결이 생기게 되는데  목재의 결방 향에 따라 자르기와 켜기로 나누어지며 각각 사용하는 톱날의 형태가 다르지만 작업 시에는 항상 목재결의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자르게 되진 않으므로 

소목 작업시에는 정밀한 작업에 적합한 등대기 톱을 주로 사용하게 됩니다.

 

 

톱질이 익숙해질 때까지는 목재에 먹금을 3면으로 그려서 내가 원하는 만큼 정밀하게  톱질이 되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나의 뇌와 감각에게 수직과 수평에 대한 착각하게 만들고 있기 때문에 달인이 되기 전까지는 나의 감각보다는 나무에 표시한 정확학 먹금을 믿는 게 자원도 아끼고 수고도 덜게 만들 수 있다.

 

톱질하는 자세

 

자세를 바르게 하고 톱질한다. 작은 부재인 경우에는 한 손으로 부재를 잡거나 눌러 고정한 후 오른손으로 톱질을 하고, 큰 부재는 톱질대 위에 발로 고정한 후 양손으로 톱질한다.

  톱질을 시작할 때에는 왼손 엄지손가락의 손톱을 켜기 시작할 부분에 대고 이것을 길잡이로 톱 몸의 밑쪽을 이용하여 5~10mm 정도 가볍게 잘라 톱 길을 만든 다음, 톱날 전체를 이용하여 길 게 당길 때 힘을 주어 톱질한다.

 

톱 길이 나면 다리를 가볍게 벌리고 팔이 앞뒤로 운동하는 방향과  부재가 수직이 될 수 있도록 자세를 잡아 팔이 항사 앞뒤로만 운동할 수 있게 하도록 한다.

 

톱질이 끝날 무렵에는 조금씩 천천히 톱질하여 목재가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톱 몸과 목재와의 마찰이 너무 심할 경우, 또는 두꺼운 목재를 톱질할 때에는 기름을 톱 몸에 발라 마찰을 줄인다.

 목재를 바르게 켜려면 톱과 목재 사이의 각도를 되도록 작게 하면 되는데, 보통 15~30˚ 로 한다.

 굳은 나무나 두꺼운 나무를 자를 때에는 각도를 크게 하고, 무른 나무나 얇은 나무를 자를 때에는 작게 하는 것이 좋다.

경우에 따라 바이스 등에 고정하여 톱질을 할 경우 더욱 효율적인 톱질이 가능하다.

 

 

 

 

톱질연습

현재는 좋은 목공용 기계들이 많이 나와 많은 톱질을 할 필요는 없지만  장비들을 모두 보유하기에는 공간적으로나 금적적으로나 효율적이지 못하며 부분적 수정을 위해 매번 기계 세팅을 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하기보다는 기본적인 수공구들을 사용할 줄 아는 것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